관절수술 클리닉/무릎,고관절

무릎 관절염 중기, 줄기세포로 해결 가능? [관악정형외과]

척편한병원 2020. 12. 31. 16:38

무릎 관절염 중기, 줄기세포로 해결 가능?

[관악정형외과]

 

 

요즘 날씨가 많이 추워졌죠? 이런 날씨에는

무릎통증이 잦은 빈도로 나타나는데요.

 

그 이유는 날씨가 추우면 관절 주변의 근육이나

힘줄, 혈관 등이 수축되면서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경직되어 통증을 느끼기 쉬워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물론 이와 같은 무릎통증은 대체로 시간이 지나면,

따뜻해지면 완화되기도 하는데요. 무릎 퇴행성

관절염이 있는 분들은 평소보다 통증을 더욱

심하게 느끼게 될 수 있으니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무릎 퇴행성 관절염은 노화나 과체중, 외상,

근육 약화,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 무릎관절 연골이 닳아

없어지면서 염증이 생긴 상태입니다.

 

그래서 고령자분들에게 유발률이 높은 편이죠.

그리고 남성보다는 가사일을 할 때 자주 무릎을

구부리고 앉는 중년 여성분들에게 발생 빈도가

더 많습니다.

 

 

 

더불어 무릎 퇴행성 관절염은 치료가 늦어질수록

증상이 심해지는데다, 치료 역시 복잡해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혹시 아래 같은 증상이 있나요?

 

1. 장시간 무릎 통증이 있고 부었다..

2. 계단을 오르내릴 때 통증이 심하다.

3. 관절이 뻣뻣하고, 걷기가 어렵다.

4. 무릎의 자세를 변경하거나 양반 다리 자세를

할 때 무릎 안쪽에 통증이 온다.

 

그렇다면 무릎 퇴행성 관절염을 의심해보고 곧장

정형외과를 방문해 진단과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이러한 무릎 퇴행성 관절염에 대한 치료법은

크게 비수술적인 방법과 수술적인 방법으로

나눠지는데요.

 

오늘은 그중 관절염 중기에 시행하는 수술인

무릎연골재생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무릎연골재생술은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인데요. 줄기세포는 신경, 혈액, 연골 등의

여러 세포들로 분화가 가능하며 재생 기능을

가진 세포입니다.

 

그래서 이 기능을 이용한다면 연골 손상 부위에

이식하여 치료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사용하는 세포는 자신의 연골에서

체중 부하를 받지 않는 부위의 세포를 떼어내

손상된 연골부위에 이식하므로 이물질 반응이나

거부 반응 등의 부작용 없으며 생착률이 90%

이상으로 우수합니다.

 

다만 손상된 연골크기가 4cm가 넘지 않는

경우에만 치료가 가능하고, 만약 이 크기가

넘는 경우에는 연골 세포를 배양해 이식하는

자가 연골세포 배양 이식술을 시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