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수술 클리닉/무릎,고관절

관악정형외과 무릎 관절염의 적절한 극복방법!

척편한병원 2021. 1. 26. 17:29

 

 

오늘은 무릎 퇴행성 관절염에 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이 다양한 원인으로 손상을

입거나, 혹은 노화에 따른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이

손상됨으로써 염증이 발생하는 상태입니다.

 

무릎을 비롯하여 각종 관절에 유발될 수

있지만, 이중에서도 가장 흔한 빈도로

나타나는 관절은 하중을 강하게 받는

무릎 관절이라고 합니다.

 

 

 

이와 같은 무릎 퇴행성 관절염을 유발하는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 노화에 의한 퇴행성 변화

◈ 평소 잘못된 습관으로 인한 관절 손상을

오래 방치한 경우

◈ 운동을 하다 발생한 무릎 연골이나

반월상연골의 손상을 오래 방치한 경우

 

특히 여성의 경우, 폐경으로 인한 호르몬의

변화가 원인이 되어 유발되는 일도 많다고

합니다.

 

그리고 과체중, 주위 뼈의 질환, 근육의

약화 등도 위험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혹시 무릎 퇴행성 관절염의 자가진단을

원하신다면 다음 경우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 6개월 이상 무릎에 통증이 있다.

▣ 무릎통증으로 걷기 어렵다.

▣ 관절이 뻣뻣하고 무릎이 붓는다.

▣ 계단을 오르내릴 때 통증이 심하다.

▣ 자세를 바꾸면 무릎 통증이 있다.

▣ 다리가 O자 형태로 휘어진다.

▣ 팔자형태로 걸음을 걷게 된다.

 

위 증상이 있을 때 무릎 퇴행성 관절염을

강하게 의심해야 합니다.

 

 

 

또한, 무릎 퇴행성 관절염의 치료법으로

#관악정형외과 척편한에서는 무릎연골재생술을

추천드립니다. 관절염 초기라면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충분할 수 있지만, 중기에 도달했을

때는 무릎연골재생술이 필요합니다.

 

연골은 스스로 치유하는 능력이 없어 한 번

손상되면 회복되지 않는다는 건 아시죠?

하지만, 자가 골연골이식술이나 자가연골

배양 이식술을 통해서라면 연골 복원이

가능합니다.

 

 

 

※ 자가 골연골이식술

 

체중 부하를 받지 않는 부위의 연골세포를

떼어내 손상된 연골부위에 이식하는 수술입니다.

 

손상된 연골크기가 4cm가 넘지 않는 경우

시술이 가능하고, 만약 이 크기가 넘는

경우에는 연골 세포를 배양해 이식하는

자가 연골세포 배양 이식술을 시행하게 됩니다.

 

 

 

※ 자가연골 배양 이식술

 

흔히 연골의 손상 정도가 크고 넓을 때

시행되며, 자가연골세포 채취 및 배양한 뒤

주입하는 치료법입니다.

 

자신의 연골세포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물질

반응이나 거부 반응 등의 부작용 없으며

생착율이 90% 이상으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