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수술 클리닉/어깨관절

신림역관절병원 어깨에 극심한 통증이?! <회전근개파열>

척편한병원 2021. 11. 30. 15:00

 

어깨 관절은 일상생활에서 약 3000회 이상의 높은

사용 빈도와 팔이나 손 등과 같은 다른 신체 부위와

연결되어 있어 다른 관절 부위에 비해 피로감이

많이 누적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 팔을 위로 올리기 힘들어지거나 가만히 있어도

어깨 부위에 통증이 있는 경우라면

회전근개파열을 의심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회전근개는 어깨 관절 주위를 덮고 있는 4개의 근육인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을 통틀어 지칭하는

으로 이 4개의 힘줄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파열되어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을 회전근개파열이라고 합니다.

 

대부분 어깨에 통증을 느끼시는 분들이라면 오십견

질환을 떠올리시는 분들이 많지만 회전근개파열 역시

대표적인 어깨 관절 질환 중 하나입니다.

회전근개파열이 일어나는 원인은?


​해당 질환의 경우에는 만성적인 어깨 통증을

유발하는데, 각 연령층에 따라서 발생하는

원인에 차이를 보입니다.

5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는 퇴행성 변화로 인해

어깨 관절 주변의 힘줄이나 인대 등이 약해지거나

어깨 관절 자체의 구조적인 약화

자연적으로 파열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젊은 층들이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즐기게 되면서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어깨 관절 부상

의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회전근개파열은 단일한 원인이 아닌 다양한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으며,

퇴행성 건염이나 혈관의 감소로 인해 힘줄의 구조가

약화된 상태에서 가벼운 외상이나 반복적인 자극으로

인해서 회전근개파열 질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

 

회전근개파열의 증상은?


​회전근개파열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는 어깨에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주요 증상이며, 이 통증은

주로 팔의 위쪽 삼각근 부근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흔히 팔을 위로 들어 올리는 경우에 통증이 심해지며,

몸을 바로 세우면 통증이 감소하나 누운 자세에서는

통증이 심해지면서 통증이 나타나는 부위로

돌아눕는 행동이 힘들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수면 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어깨 관절 운동 제한은 뚜렷하지 않지만 운동

제한이 있는 경우라면 능동적 관절 운동의 제한이

나타날 수 있으며, 팔을 들어 올리는 경우에 어깨의

꼭대기 부분에서 삐걱거리는 소리가 들릴 수 있습니다.

어깨에 나타나는 통증으로 인해 팔을 자주

사용하지 않게 된다면 근력이 약화되는 현상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회전근개파열을

방치할 시 힘이 떨어져 물건을 잘 떨어뜨리거나

섬세한 작업을 할 수 없게 될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 오십견과 회전근개파열의 증상이 비슷하여

혼동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병원에 내원하시어 정확한 상담을 받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 질환의 차이를 간략하게 말하자면

회전근개파열은 근력 약화가 동반되어 오지만

오십견의 경우 근력 약화가 동반되지 않습니다.

 
 

회전근개파열의 효과적인 치료법은?


​회전근개파열의 치료법에는 환자분의 나이나 파열

정도에 따라서 치료법을 정하게 됩니다. 신림역관절병원

척편한병원에서는 비수술적 치료인 프롤로테라피

주사요법이나 약물 및 도수치료 등을 우선적으로

시행하여 증상 개선을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완전한 파열이 발생하거나 통증이 심해 일상이

어려운 정도라면 관절내시경 또는 회전근개 봉합술

통해 치료를 시행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관절내시경은, 어깨 통증을 유발시키는 병변 부위에

최소 절개를 진행하여 초소형 내시경을 이용해 정확한

진단을 내린 후에 그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진행하는

수술법을 말하며, 회전근개 봉합술은 관절내시경을 통해

병변 부위를 확인 후 주변 염증 및 돌출된 뼈를

제거한 후 파열된 힘줄을 봉합하는 수술법입니다.

 

이 두 가지 수술법 모두 최소 절개를 통해 진행되어

수술 후 흉터 자국이 적으며, 출혈이 적어 이에 따른

후유증 발생 위험도 매우 적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직접 손상 부위를 확인함으로써 정상 조직을

건드릴 확률을 최소화시켜 부작용이나

후유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적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