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수술 클리닉/어깨관절

신대방역정형외과 어깨관절와순파열 주의가 필요해요

척편한병원 2022. 3. 2. 13:45

신대방역정형외과 어깨관절와순파열 주의가 필요해요

실내에서 운동을 하는 사람, 유튜브로 영상을 보면서 홈트를 즐기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다양한 부상으로 인해 신대방역정형외과에 내원하는 환자분들이 많습니다. 건강을 위해 했던 운동들이 잘못된 자세나 무리한 운동량 때문에 다양한 신체 부위에 외상을 입게 되는 것인데요.

특히 어떤 운동을 하더라도 팔을 움직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팔이나 어깨관절에 부상을 입게 될 확률이 높습니다.

 

사람의 어깨 관절은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동 범위가 크기 때문에 그만큼 손상될 확률이 높습니다. 오늘 신대방역정형외과 척편한병원에서 알아볼 어깨 질환은 '어깨관절와순파열'이라는 질환인데요.

관절와순이란 어깨뼈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있는 링 모양의 섬유질 연골로, 그 중에서도 상부에 위치한 관절와순은 이두박건이라는 힘줄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는 뼈에 느슨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움직일 때마다 손상을 입을 확률이 높아지게 되며 어떠한 요인에 의해 위쪽의 관절와순이 이두박건과 함께 어깨뼈에서 떨어지는 것을 어깨관절와순파열이라고 합니다.

 
 
 
 

어깨관절와순파열은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팔을 머리 위로 크게 휘두르는 동작과 같은 운동을 할 때 특히 주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동을 하면서 공을 무리하게 던지는 경우, 웨이트 트레이닝과 같이 무언가를 잡아당기는 운동을 즐기는 20~30대 젊은 남서들에게서 부상의 위험이 높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그 외에도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나 어깨를 부딪히는 경우, 어깨의 불안정성이나 다른 어깨질환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신대방역정형외과와 알아보는 어깨관절와순파열 증상

1. 팔을 높이 들어올릴 때 무언가 걸리는 느낌이 있으며 통증이 발생합니다.

2. 앞쪽이나 옆쪽으로 올릴 때는 통증이 없고, 등 뒤로 돌릴 때 통증이 발생합니다.

3. 어깨를 움직일 때 마찰음이 들립니다.

4. 어깨가 항상 무겁고 불안정한 느낌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을 방치할 경우 이두박건에 염증이 생길 수 있으며, 옷을 입거나 벗는 등의 간단한 동작을 할 때도 통증 때문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치료가 중요합니다.

신대방역정형외과와 알아보는 어깨관절와순파열 원인

◑ 노화로 인한 퇴행성변화 ◐

나이가 들면서 어깨관절 및 주변 힘줄, 근육의 기능이 약화되면서 발생합니다.

◑ 과격한 스포츠 활동 ◐

팔의 회전동작이 많은 운동이나 무거운 물건을 잡아당기는 동작을 반복하는 운동을 할 경우 부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다른 질환에 의한 2차적인 발생 ◐

회전근개파열이나 어깨 불안정성을 일으키는 질환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대방역정형외과 척편한병원에서는 정밀한 진단을 통해 환자 개개인의 파열된 정도를 파악한 후 그에 맞추어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파열의 정도가 경미한 경우에는 약물치료, 주사치료(프롤로테라피/인대강화주사), 체외충격파치료 등의 보존적 방법을 우선적으로 시행하여 증상의 회복을 도와드리고 있으며, 이러한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는다면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인 SLAP 봉합술을 진행해야 합니다.

SLAP 봉합술은 통증을 일으키는 관절 부위에 약 1cm 미만의 구멍을 낸 다음, 카메라가 달린 관절내시경을 삽입해 관절의 상태를 모니터로 확인하며 염증 부위를 제거하는 수술적 치료를 말합니다.​ 어깨의 잦은 사용으로 인해 연골의 표면이 울퉁불퉁해진 것이 관찰될 경우 관절내시경을 활용해 다듬어주며 연골이 파열된 경우라면 이를 봉합술을 진행합니다.

​관절내시경 수술의 경우 X-ray나 MRI로도 확인하지 못했던 병변들을 실시간 모니터를 통해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며 치료할 수 있어 정확도가 비교적 높은 치료입니다. 더불어 절개부위 또한 최소한으로 시행되기에 회복이 빠르며 출혈 및 감염의 위험에서도 보다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