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의 자세를 살펴보면 각자 조금씩 차이가 있었어요. 바른 자세를 유지한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허리를 굽히고 있다거나 다리를 꼬는 경우, 비스듬히 기대어 앉는 습관이 있는 분들은 간혹 통증을 호소하기도 했어요.
그런데, 이러한 허리 통증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면 척추질환에 의한 것일 수 있어 신림정형외과에 내원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편이 좋았어요.
척추는 머리부터 시작해 엉치까지 연결된 뼈와 주변의 인대, 추간판과 같은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전체적인 신체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고 있었어요.
잘못된 자세를 지속적으로 취하게 되면 척추와 주변 근육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통증이 발행하기도 했어요. 또한 방치하거나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치료 시기를 놓치게 되면서 이차질환으로 발전하거나 증상이 악화되어 수술치료를 피하기 어려울 수 있어 초기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어요.
허리에 통증이 느껴졌을 때 가장 먼저 떠올리게 되는 질환이 허리디스크였어요. 척추뼈와 뼈 사이에 있는 추간판이라는 구조물이 제 위치를 벗어나거나 파열되면서 주변의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으로 의학적 명칭은 요추 추간판 탈출증이었어요.
여기서 추간판이란 척추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말랑말랑한 조직으로, 겉을 둘러싸고 있는 섬유륜이 찢어지고 내부 수핵이 밖으로 흘러 나오게 되면서 신경을 압박하게 되는 것이었어요. 척추 주변의 신경은 하반신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 부위에 압박이 가해지게 되면 허리에 통증과 함께 하반신으로 이어지는 방사통까지 발생했어요. 특히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완화되고 앞으로 숙이면 심해지기 때문에 앉아있는 자세에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어요.
허리디스크와 유사한 질환으로는 척추협착증이 있었어요. 척추 뼈 내부의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디면서 신경이 압박을 받아 통증과 하지방사통을 유발하기 때문에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었어요. 이는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가 진행될 때 척추관을 둘러싸고 있는 인대와 관절이 비대해지면서 발생하는 편이었으나 최근에는 잘못된 자세로 인해 퇴행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발병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어 주의가 필요했어요.
척추협착증은 앉아 있거나 허리를 앞으로 숙였을 때 통증이 완화되기 때문에 허리를 굽히고 걷는 자세로 굳어지기도 하고, 하지방사통이 더욱 심해서 장시간 보행이 어려운 것은 물론, 중간중간 쪼그려 앉아 쉬었다가 다시 걸어야 하는 파행적보행이라는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날 수 있었어요.
다음으로 척추분리증과 척추전방전위증은 척추뼈와 뼈 마디를 연결하는 협부라는 부위에 생긴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었어요. 척추뼈가 분리되면서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되는 상태를 척추분리증이라고 하며, 여기서 더 악화되면 척추뼈의 윗부분이 앞쪽으로 밀려 나오면서 신경을 압박하는 상태가 척추전방전위증이었어요. 선천적으로 협부의 결손이 있는 경우에는 20살 미만의 어린 나이에도 척추분리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척추전방전위증의 경우 호르몬 변화로 인해 척추뼈를 잡아주는 인대가 약해지면서 중년 여성에게 발병률이 높은 편이었어요.
해당 질환은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심해진다는 점에서 협착증과 유사하지만, 척추의 불안정으로 인해 하지에 마비감이 느껴지기도 하고 심한 경우에는 등 뒤로 튀어나온 뼈가 만져지기도 했어요. 또한 엉덩이가 뒤로 빠지고 배가 앞으로 나와 오리걸음의 형태를 보일 수 있었어요.
다음으로 척추압박골절은 외부 충격에 의해 척추뼈가 납작하게 눌러 앉는 질환을 말했어요. 골다공증이 있어 척추뼈의 밀도가 낮거나 낙상사고, 엉덩방아, 머리 위로 무거운 물건이 떨어지는 경우, 물건을 옮기기 위해 허리만 숙여 들어올리는 경우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었어요.
해당 질환은 골절이 발생한 부분에 극심한 통증을 나타나 움직이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 심해지는 경우 척추뼈의 변형으로 인해 등이 앞으로 굽어지기도 했어요. 또한 압박골절이 꼭 허리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경추 부위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음식섭취 제한이나 호흡 곤란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했어요.
신림정형외과에서는 척추 질환은 무엇보다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어요. 그 이유는 바로 척추질환은 방치한다고 해서 증상이 완화된다기 보다는 노화로 인해 척추의 퇴행이 진행되면서 더욱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었어요.
저희 척편한병원은 약물치료, 도수치료, 견인치료, 체외충격파치료 등의 보존적인 치료를 가장 우선적으로 시행했어요. 다만 환자의 상태가 이미 보존적 치료로 호전되지 않을 정도로 심한 경우에는 신경주사치료, 경막외신경성형술, 고주파열치료술 등의 시술을 고려하는데, 이는 비수술치료인 만큼 마취나 후유증에 대한 우려가 적고 시술 후 회복 역시 빠른 편이었어요.
비수술치료를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완화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치료를 고려해보아야 했어요. 아무래도 수술이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부담을 느낄 수 밖에 없는데, 저희 신림정형외과 척편한병원은 최소절개수술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이러한 부담을 줄일 수 있었어요.
특히 최근에 도입한 척추내시경 수술 장비는 피부를 1cm 미만으로 절개한 후 삽입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직경을 가진 버가드 팁과 다양한 길이의 슬림 핸드피스를 사용해 완벽한 회전과 커팅이 가능하기 때문에 허리디스크, 척추협착증, 척추분리증, 척추전방전위증, 척추압박골절 등 여러 가지 질환에 대한 치료가 가능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