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된 신발 착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무지외반증
무지외반증, 무지외반교정술로 효과적인 개선 가능
[사진: 척편한병원 박현국 원장]
일상생활 중 엄지발가락의 측면 부위가 돌출되고, 걸을 때마다 통증이 느껴진다면 무지외반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둘째 발가락 쪽으로 휘어지면서 엄지발가락 관절이 돌출되는 족부질환으로써, 남성보다 주로 여성에게서 흔히 나타난다.
무지외반증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엄지발가락 옆 뼈 부분이 튀어나올 수 있으며 엄지발가락 부분이 걸을 때마다 신발과 마찰되어 통증이 느껴지는 것이다. 또한 조금만 걸어도 발이 피로하고 욱신거리는 등의 증상을 느낄 수 있으며, 점점 진행될수록 엄지발가락이 둘째 발가락의 위나 아래로 엇갈리면서 통증을 유발시키는 증상으로 악화될 수 있다.
그리고 무지외반증의 원인은 크게 선천적인 요인과 후천적인 요인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후천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더욱 많다. 특히 볼이 좁은 신발이 질환의 발생과 악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볼이 좁고 굽이 높은 신발은 발가락의 변형을 발생시키려는 외력을 가하는 것이 무지외반증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해당 질환은 잘못된 생활습관 외에도 유전적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적으로 몸이 유연하고 관절이 쉽게 꺾이는 사람, 또는 발볼이 넓거나 평발인 사람 등 무지외반증이 쉽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신림역에 위치한 척편한병원 박현국 원장은 “무지외반증은 반드시 수술을 받아야 하는 것이 아니며 일차적인 치료는 비수술적 치료법을 시행하는데, 이 기간에는 굽이 높고 앞 부분이 뾰족한 신발을 되도록 피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무지외반증이 장기간 방치되어 휘어진 정도가 심해진 상태라면 무지외반 교정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고 덧붙였다.
무지외반 교정술은 튀어나온 뼈를 바로 잡아주고 뼈의 변형으로 인해 주변의 인대, 근육, 관절낭 등을 함께 정렬해주는 수술적 치료법이다. 이러한 수술의 종류는 약 100여가지가 존재하며, 환자의 발 상태에 따라 다른 수술을 적용하는 맞춤 수술이 가능하다. 또한 족부 정형외과 의사가 시술하게 되면 후유증의 가능성은 매우 적다. 과거의 무지외반 교정술은 수술해서 재발하는 경우가 흔해 수술을 꺼려했으나 최근 수술기법의 발달로 인해 재발률을 낮추었다.
무지외반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스트레칭이 제일 중요하다. 야외활동 하기 전에는 적절한 스트레칭을 한 후 활동하는 것이 좋으며 일생생활에서는 발목을 돌리거나 아스팔트 같은 딱딱한 곳보다 쿠션감 있는 부드러운 바닥을 걷는 것이 좋다. 또한 올바른 걷기습관과 자신의 사이즈에 맞는 신발을 신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평발이나 관절이 특별하게 유연한 경우 다시 구두나 하이힐을 즐겨 신었을 때 무지외반증이 쉽게 올 수 있으니 평소 무지외반증 예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척편한병원 > 언론속의 척편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시린 무릎통증, 퇴행성관절염 의심해봐야 (0) | 2020.01.02 |
---|---|
허리에 통증이 있다면 허리디스크 의심해야 (0) | 2019.12.30 |
거북목 증후군, 장시간 방치하면 목디스크로 이어질 수 있어 (0) | 2019.12.04 |
손목에 통증이 지속된다면 손목 터널증후군 의심해야 (0) | 2019.11.27 |
청소년기에 나타나기 쉬운 ‘척추측만증’, 조기발견 및 치료가 중요해 (0) | 2019.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