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수술 클리닉/손,발관절

<구로디지털역정형외과> 팔꿈치 통증 유발하는 테니스엘보

척편한병원 2022. 5. 2. 14:18

<구로디지털역정형외과> 팔꿈치 통증 유발하는 테니스엘보

 

운동을 하다 보면 여러 신체 부위를 움직일 수 밖에 없으며 그 중에서도 라켓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는 운동을 할 때는 팔꿈치나 손목 등의 부상을 주의해야 합니다. 라켓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운동 중 하나인 테니스는 팔꿈치는 물론이고 손, 어깨까지 다양한 관절을 사용하게 되며 부상을 입을 경우 심한 통증을 겪게 되면서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는데요.

오늘 구로디지털역정형외과 척편한병원에서는 팔꿈치통증을 유발하는 테니스엘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테니스엘보는 팔꿈치 상과에 부착되어 있는 '손목신전근'이라는 힘줄의 과부하로 인해 미세한 손상이 축적되어 염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팔꿈치 바깥쪽에 돌출된 뼈와 이어진 힘줄에 생긴다고 하여 외측상과염이라고도 불립니다.

테니스의 백핸드 자세에서 흔하게 발생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지속적인 팔꿈치 통증과 손목의 통증을 유발하는 테니스엘보는 방치할수록 만성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빠른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한 질환입니다.

테니스엘보가 발생하게 되면 팔꿈치 바깥쪽의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으로 증상이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언제 발생했는지도 인지하지 못한 채 질환이 점차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당 부분을 누르면 더욱 심한 고통을 호소하는 압통이 발생하며, 이러한 통증은 손목을 젖히는 동작에서 더욱 극심해집니다. 아래쪽의 팔과 손목으로 이어지며 손을 쥐거나 힘을 줄 때에도 통증을 느낄 수 있고 심한 경우 이 힘줄들을 구성하는 성분인 콜라겐까지 손상되기도 하는데요.

테니스엘보는 손 혹은 팔의 반복적인 사용이나 힘줄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과거에는 팔을 써야만 하는 운동선수들에게서 흔하게 발생했었습니다. 또한 젖은 빨래를 손으로 힘껏 비틀며 짜는 동작이나 걸레질 등 손목을 회전하는 등의 동작을 반복하는 가사일을 하는 주부에게서도 발병률이 높았죠.

이외에도 손목이나 팔꿈치에 직접적인 손상이 가해지는 외상이나 테니스와 같은 운동을 즐기는 젊은 연령대의 환자들이라면 주의해야 합니다.

구로디지털역정형외과 척편한병원에서는 '비수술 우선, 최소절개 수술'이라는 치료원칙을 통해 환자분에게 적합한 최적의 치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을 때는, 약물치료나 주사치료, 체외충격파치료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우선적으로 시행하고 있는데요.

 
 
 
 

약물치료 및 주사치료

진통제나 소염제 등을 통해 통증 및 염증을 가라앉히고 인대를 강화하는 프롤로테라피를 통해 통증을 완화시킵니다.

체외충격파 치료

충격파를 발생하여 혈관의 재형성을 돕고, 힘줄과 그 주위 조직과 뼈의 치유 과정을 자극해 조직을 재생시키는 효과로 재발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합니다.

단, 손상이나 파열이 심한 경우라면 관절내시경 수술을 통해 회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관절내시경 수술은 초소형 카메라를 관절 안에 삽입한 후 송출되는 화면을 보며 진행하는 수술로 질환의 진행 상태 및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X-ray와 MRI 검사 시에는 발견하지 못했던 병변까지 확인할 수 있어 더욱 섬세한 수술이 가능합니다.

구로디지털역정형외과 척편한병원에서는 관절내시경 수술 시, 부작용 위험을 낮추는 것은 물론 회복이 빠르도록 최소한의 절개로 수술을 시행하고 있습니다.